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최성민

최근작
2023년 12월 <녹차, 다산에게 묻다>

최성민

서울대(교육학). 성균관대대학원(한국철학 전공) 철학박사. 성균관대유학대학원 예·다학과 초빙교수, 한겨레신문 창간발의인(1/50). 문화부기자, 여론매체부장, 논설위원 등 역임.
2003년 전통차문화 복원운동용 산절로야생다원 조성. 2018년 (사)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설립. 2019년 일반인 차생활(제다/다도) 보급 프로그램 <힐링곡성 야생차포레스트> 개발, ‘야생차 제다/차와 수양/수양다도 음악’ 강좌 운영. 2023년 문화재청 지원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다산의 다정 다감>) 수행(연구보고서 『녹차, 다산에게 묻다』 출간). 한국 차(학)계의 차문화 왜곡, 차상업지상주의에 맞서 현장 학술연구와 실습 위주로 차문화 본질 탐구에 매진함.
2018년부터 서울자유시민대학, 종로구평생학습원, 관악문화원도서관 등지에서 ‘차와 수양’ ‘나를 찾는 한 잔의 차’ ‘장자의 찻잔’ 등 강의.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지원으로 강진 장흥 해남 등지에서 ‘남도 차문화와 마음공부법’ 강의.
저서 ; 『차와 수양』 『신묘(神妙)』 『마음 비우기·채우기·기르기』 『한국 차의 진실』 『차의 귀향, 그 후 20년』 『지허스님의 차』(기획). 『그곳에 다녀오면 살 맛이 난다』 『섬 섬 섬』 『내가 섬이 되는 섬』 등.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살맛나는 세상 다녀오기> - 2001년 8월  더보기

나는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20대 초반 이후 지금까지 서울에 살면서 하루 한 순간도 서울살이가 행복하다고 느껴본 적이 없다. 동서고금, 모든 동식물의 삶에 있어서 너무나 중요시돼왔던 자연을 차단당하고 살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나 같은 40대 이후 시골 출신 사람들은 자연에 길들여진 사람들이다. 피부 색깔이나 눈동자의 움직임이나 걸음걸이 등 모든 언동과 심성이 자연의 색깔과 자연의 운동원리 속에서 보호색과 화음, 율동을 얻어온 사람들이다. 그러다가 갑자기 산업화의 격랑에 몰려 서울로 가게 되고 서울 붙박이가 되면서 자연이라는 마음의 고향과 정서의 뿌리를 잃어버린 것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