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이철원

최근작
2019년 9월 <스포츠에 답이 있다>

이철원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한국 유학생 삶에서 여가의 중요성’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질적 연구법을 적용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자는 현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회장, 한국여가웰니스학회 회장과 한국여가문화학회 국제이사로 일하고 있다. 아울러 국군방송, 교통방송(대구), KBS 1TV <아침마당>에서 ‘여가 잘 보내는 방법’에 대한 강의를 하기도 했다. 2013년 4월부터는 KBS 1라디오 <성공예감 김방희입니다>에서 ‘놀면서 성공하기’ 방송에 출연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된 연구 관심사는 여가 경험의 사회·심리학적인 이해, 진지한 여가(Serious Leisure), 여가제약 협상전략, 행복 등이다. 이와 같은 연구 주제를 양적 연구로, 혹은 질적 연구로 교차 해석하여 인간의 여가 경험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국내외 학회지(SSCI 포함)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20여 권의 여가학 책을 집필하며 이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학문에 대한 기여로 2005년 <연세대학교 학술상>, 2006년과 2007년 2년 연속 연세대학교 <우수연구실적상>, 2007년과 2013년에는 연세대학교 <우수강의교수상> 및 2013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우수강의 교수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여가와 스포츠의 문화적 담론>, <여가의 재해석>, <여가연구이야기>, <현대 여가학>(3판),<웰빙을 원한다면 여가를 경영하라>, <여가학연구방법론>(공저), <여가와 문화>(공저), <레크리에이션의 패러독스>(공저), <여가학자의 유쾌한 세상읽기>, <3척 동자가 되기 위한 69가지 여가상식>, <여가예찬>, <여가학총론>(공저), <라인댄스>(공저), <현대여가 연구의 이슈들>(공저), <위대한 도전>, <여가사회와 그 적들>, <여가는 유혹이다>,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등이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현대여가학> - 2005년 12월  더보기

현대 사회의 가장 큰 이슈는 어떻게 노는가이다. 물론 현대 이전에도 노는 것은 인간 생활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이었지만, 현대 사회에서 "노는 것"과 "여가 즐기기"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담론을 제기한다. 은 여가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을 통해서 여가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 책이다. 이러한 접근을 위한 첫번째 질문이 바로 "여가가 학문일 수 있는가?"이다. 이 질문을 바탕으로 사회과학적인 차원에서의 여가 논의와 여가의 학문적인 정체성 그리고 사회 체육적인 관점에서의 의의와 가치를 다루고자 하였다. 또한, 여가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여가학(Leisure Stuidies)에 대한 전체론적인 탐구를 제기하고자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서가 추구하는 방향이다. (2002년 7월 20일 알라딘에 보내신 작가 코멘트)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