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해외저자 > 인문/사회과학

이름:주디 와이저 (Judy Weiser)

최근작
2012년 8월 <사진치료기법>

주디 와이저(Judy Weiser)

심리학자, 예술치료사, 자문, 수련감독자, 대학 강사이자 저술가이며, "사진치료(PhotoTherapy)" 및 관련 기법을 개발한 초창기 선구자 중 한 명이다. 캐나다 밴쿠버의 '포토테라피 센터'(1982년)의 창립자이자 소장으로 있으며, 사진치료, 사진예술치료, 치료적 사진, 비디오치료, 치료적 비디오(치료적 영화 만들기)의 '세계적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사진치료 저널의 전(前) 편집자로서, 주디 와이저는 사진치료와 관련 기술에 대한 수십 편의 전공 논문과 책 일부를 저술했으며(일부는 일본어, 한국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독일어로 번역) 교육적 비디오/DVD도 개발하였다.
주디 와이저는 사진치료를 활용한 개인 치료가로 20년간 활동하다(사진치료와 관련이 없는 내담자 위주) 지난 15년 동안은 오로지 워크숍 자문, 강연, 교육 활동과 전 세계적으로 수련 과정을 지도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최근 뉴멕시코 주 샌타페이에 위치한 사우스웨스턴 칼리지의 '상담과 예술치료' 및 '상담' 박사과정 프로그램에서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개론 수업, 집중 수련 세미나, 워크숍, 사진치료 기술에 대한 전문 자격 프로그램(모두 학위 과정에 포함)을 진행할 예정이며 학교 자문위원회의 일원으로도 활동하게 되었다.
주디 와이저는 지난 30년 동안 전 세계 50개 도시에서 300회의 워크숍, 집중 수련 과정, 강연을 하였고(지난 몇 년간 이탈리아, 러시아, 라트비아, 핀란드, 스웨덴, 스페인, 네덜란드, 멕시코, 영국, 스코틀랜드, 미국, 캐나다의 지역 프로그램 강의 제의 포함), 정신건강 전문가들에게 사진치료, 사진예술치료, 비디오치료 등의 활용 방법을 가르치며 수강자들의 치료 역량 및 상담 능력을 함양시켜 왔다.
그녀는 또한 치료적 사진, 치료적 영화 만들기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오랫동안 일반인에게 교육해 오면서 개인적 성장과 성찰을 돕고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소외감을 경감시키며 사회적 변화를 촉진하는 등 지역사회를 좀 더 건강하게 만드는 일에 참여하고 있고, 한편으로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양질의 연구활동을 돕고 있다.
주디 와이저는 '상담과 치료 분야의 사진치료 기술'에 관한 기초 정보 자료 및 네트워크 웹사이트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그녀의 모든 저술을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진치료, 치료적 사진, 사진예술치료, 비디오치료??라는 관련 페이스북 그룹도 운영하고 있다(1,000명 이상의 회원).
위의 활동에 추가하여, 주디 와이저는 이탈리아 저널 PsicoArt: Rivista on line di arte e psicologia
(정신예술: 예술과 심리학의 온라인 저널)와 캐나다 예술치료협회 저널 두 곳에서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캐나다 인디펜던트 스콜라 아카데미와 미국 가족치료 아카데미 두 곳에서 선임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디 와이저는 또한 미국의 시각적 치료 센터, 멕시코의 심리학/사진 연구소, 러시아의 PSYFOto/ PSYForte의 국제 자문위원으로(그리고 토론토 예술치료연구소와 밴쿠버 예술치료연구소의 강사로도 가끔) 활동하고 있다.
주디 와이저와 그녀의 활동은 많은 대중매체 출판에서 다뤄졌으며, 해외 몇몇 국가의 다양한 라디오나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그녀의 기법을 논의하고 보여 주었다. ??심리학 분야의 건강 서비스 전문가 캐나다 판??에 등재된 그녀는 심리학과 예술치료의 전문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전시회, 출판, 그리고 최근의 미국 다큐멘터리 영화에도 작품이 소개된 사진 예술가로도 활동 중이다.
주디 와이저는 치료, 상담, 또는 이와 관련된 웰빙과 치유의 개별적 이론 분야에서 특정 기관이나 치료 프로그램, 교육 기관, 재활 시설, 웰빙 프로그램, 전문 협회, 조직, 병원 및 개인적으로 구성된 개별적 수련에 이르기까지 사진치료, 사진예술치료, 치료적 사진, 비디오치료의 활용에 대한 교육과 수련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의뢰를 받고 있으며, 이런 기법들을 대중과 매체와 함께 나누는 활동에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