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권도경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74년, 부산

최근작
2014년 9월 <한국 고전서사원형과 문화콘텐츠>

권도경

1974년 부산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동아시아고대학회 상임이사. 한국구비문학회 지역이사. 세명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주요저서
[한국인물전설과 역사], 박이정, 2014.
[한국민속문학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12.
[한국전설과 로컬리티](2013년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태학사, 2012.
[한국 전기소설사의 전개와 새로운 지평], 태학사, 2012.
[내암 정인홍], 예문서원, 2010.
[조선후기 전기소설의 전변과 새로운 시각](2005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보고사, 2004.
[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 2004.
[홍루몽(상,하)], 이회문화사, 2004.
[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전망], 국학자료원, 2003.
[설월매전], 이회문화사, 2003.
[선진일사], 이회문화사, 2003.

E-mail : dkkwon@semyung.ac.kr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한국 고전서사원형과 문화콘텐츠> - 2014년 9월  더보기

나는 74년생 93학번이다. 드라마, 영화, 게임, 웹툰, 동영상 등 디지털매체(媒體)를 매개체로 하여 생산·매매되는 이른바 디지털 문화콘텐츠(digital culturecontents)에 대한 향유가 90년대부터 시작되어서 2000년대를 기점으로 보편화하는 것을 몸소 체험한 세대다. 한때, 디지로그니, 다운시프트니 하며 디지털 매체 이전 시대의 매체의 귀환을 예언하는 서적들이 유행하기도 했지만, 이는 오히려 디지털 매체의 주도권을 인정하는 속에서 마이너리티로서의 아날로그 문화가 가지는 특별한 가치를 환기시키고자 한 것일 뿐이다. 디지털 문화콘텐츠 중에서도 특히 내 눈길을 잡아 끈 작품들은 고전서사문학의 서사적 맥락을 계승한 것 같이 보이는 작품들이었다. 현대문학 전공자들에게는 단지 고전문학의 패러디 작품으로만 규정되어 왔었던 작품들이 내 눈에는 고전서사문학의 현대적 이본으로 보였던 것이다. 고백하자면 이렇다. 이들 작품들이 단순히 기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나타났다 사라지는 장돌뱅이 같은 존재가 아니라 한국 고전서사문학사의 유구한 역사에 서사적 기원을 두고 있는 동시에, 미래에 또 다른 어떤 매체를 매개로 하여 등장할 서사문학 작품들에 대한 축적된 서사적 과거를 구성하는 존재들임을 학문적으로 규명해내야 할 학자적 사명감 같은 것이 본 연구를 시작하게 한 이유였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