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산자이 마드하브 (Sanjay Madhav)

최근작
2019년 9월 <Game Programming in C++>

산자이 마드하브(Sanjay Madhav)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USC)의 강사로, 비디오 프로그래밍에 관한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USC에서 전임 강사를 맡기 전에는 일렉트로닉 아츠(Electronic Arts), 네버소프트(Neversoft), 판데믹 스튜디오(Pandemic Studios) 등 여러 비디오 게임 개발사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다. 다양한 시스템에서 프로그래밍을 해왔지만 주 관심사는 게임 플레이 메커니즘이다. 〈메달 오브 아너: 퍼시픽 어썰트(Medal ofHonor: Pacific Assault)〉, 〈토니 호크 프로젝트 8(Tony Hawk's Project 8)〉, 〈반지의 제왕: 컨퀘스트(Lord of the Rings: Conquest)〉, 〈사보티어(The Saboteur)〉 등의 개발에 참여했다.
2008년 게임 업계에서 일하며 USC에서 시간 강사로 강의를 시작했고, 2009년 판데믹 스튜디오가 문을 닫은 뒤로 전도유망한 게임 프로그래머를 가르치는 데 힘을 쏟기로 마음먹었다. 주력 과목은 연달아 10학기 이상 맡아온 학부생 대상 게임 프로그래밍이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게임 프로그래밍 알고리즘> - 2015년 12월  더보기

불과 얼마 전만 해도 게임 업계에서는 전문가 몇 명이 상업용 비디오 게임의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지식을 독점하고 있었다. 마이클 아브라쉬(Michael Abrash)의 『Graphics Programming Black Book』 같은 기념비적인 책이 있었다 해도, 그 당시 AAA 게임(대작 게임)에 쓰이는 실전 알고리즘은 마치 흑마법이나 금단의 지식처럼 베일에 싸여 있어서 배우기가 쉽지 않았다. 정규 교육 과정을 통해 게임 프로그래밍을 배우려면 소수의 전문 직업학교밖에 선택지가 없었다. 하지만 지난 10여 년간 비디오 게임 교육은 큰 변화를 겪어 왔다. 이제 유명 대학 중에도 비디오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한 과정과 학위를 제공하는 학교가 생겼으며 그 수는 매년 늘고 있다. 비디오 게임 교육 과정이 늘어나면서 게임 회사가 신입 프로그래머에게 바라는 기대치가 너무 높아지는 부작용도 생겼다. 2000년대 초만 해도 초보 프로그래머에게 컴퓨터 과학에 관한 확고한 배경지식과 비디오 게임 제작에 관한 열정 이상을 기대하는 회사는 없었다. 단지 탄탄한 기초를 바탕으로 실무를 통해 더욱 수준 높은 게임 프로그래밍 기법을 배워 나가길 바라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요즘은 중점적으로 게임에 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훌륭한 교육 기관이 많으므로 신입 프로그래머라도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한 다양한 경험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회사가 늘고 있다. 굳이 또 게임 프로그래밍 책을 쓴 이유 비디오 게임 과목이 늘어나면서 대학 수준에 맞는 책의 수요도 늘어났다. 하지만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게임 프로그래밍 책은 대부분 취미로 게임 제작을 배워보려는 개발자나 이미 게임 업계에 수년간 종사해온 전문 개발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양쪽 다 대학 수업에 쓰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취미용 개발서는 대학생에게 가르치기에 너무 수준이 낮았고 전문가용 개발서는 대학생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기 일쑤였다. 'ITP 380: 비디오 게임 프로그래밍'은 내가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SC)에서 가르치는 과정 중 하나다. 수업에 들어오는 학생은 보통 프로그래밍의 기본을 잘 알고 있는 2, 3학년이다. 게임 메이커(Game Maker)나 유니티(Unity) 같은 게임 엔진을 사용해서 간단한 게임을 만들어봤던 학생도 있지만, ITP 380을 통해 실질적인 비디오 게임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다. 이 책이 내 수업은 물론, 다른 대학의 비슷한 수업에서 지금껏 미흡했던 부분을 메꿔주는 참고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쓴 책이지만 게임 프로그래밍에 흥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의 진가를 알아볼 수 있으리라 믿는다. 이 책의 앞쪽 열두 장은 플랫폼, 프레임워크와 상관없는 내용이다. 즉 프로그래밍 언어나 타깃 플랫폼에 상관없이 다양한 2D 게임과 3D 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특정 프레임워크의 특정 버전에 단단히 얽혀서 몇 년만 지나도 쓸모가 없어지는 다른 책과 확연히 다른 특징이다. 미래를 내다볼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이 책은 꽤 오랜 시간 동안 가치를 지닐 것으로 생각한다. 또 학교마다 수업에 사용하는 언어와 프레임워크가 다르다 해도 큰 상관없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책이다. 그렇다고 예제 코드가 쓸모없다는 뜻은 절대로 아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마지막 두 장에서는 두 종류의 프레임워크로 작성한 두 개의 게임을 소개한다. 물론 예제 코드도 제공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