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공동주택연구회

최근작
2007년 12월 <MA와 하우징 디자인>

공동주택연구회

우리나라 주거지 공간 환경과 주거 문화에 주목하는 연구자들의 모임이다. 1994년 6월에 첫 모임을 시작했으며, 주택 꼐획 문제와 이론 그리고 실천 과제를 연구한다. 연구 결과를 우리 생각과 말로 정리하고 주체적인 계획론을 찾는다는 것을 최종 과제로 삼고 있다.

<공동주택 백서>를 시작으로 <도시집합주택의 계획 11+44>, <한국공동주택계획의 역사>, <한국 공동주택 16제>, <7개 키워드로 읽는 일본의 현대 하우징>, <주거단지계획> 등의 책을 공동으로 출간했다. 이와는 별도로 화원 각자가 자신이 주목하는 개별 논제를 중심으로 연구 활동에 임하면서 연구서를 출간할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공동주택과 관련해 짚어야 할 주요한 쟁점들을 논의하고 정리해 개별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주거단지계획> - 2007년 8월  더보기

주거지든 도시든 생활 공간이란 별개의 부분적인 생활 공간들이 각각 완결된 상태로 모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각각의 개별 공간들은 전체에서 따로 분리해낼 수 없는 유기체적인 관계 속에 속해 잇으며, 이들이 맺는 관계가 전체 생활 공간의 질과 성격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 단위주거 내 전용 공간의 질도 중요하지만 단위주거들이 서로 만나는 방식에 따라, 단위주거와 공용 공간이 만나는 방식에 따라, 단위주거와 옥외 공간이 만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공용 공간과 옥외 공간의 질과 성격을 설계 대상으로 삼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의 각 장의 주제들은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주거단지계획의 주요한 설계 대상에서 다루어야 할 것들을 다시 정리한 것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