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남구만 (南九萬)

출생:1629년

사망:1711년

최근작
2019년 2월 <[큰글씨책] 원서발췌 약천집 >

남구만(南九萬)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의 호는 약천(藥泉) · 미재(美齋), 자는 운로(雲路),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약천은 붕당정치의 전성기였던 효종, 현종, 숙종에 걸친 삼조의 대신으로 정치, 경제, 군사, 의례 등 국정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친 경세가이자 문장가다.
약천은 인조 7년(1629) 12월 3일 충청도 충주(忠州) 누암(樓巖)의 외가에서 태어났다. 약천은 어려서는 외증조모인 이씨 부인(李氏夫人)에게 글을 배우다가 부친에게 가학을 전수받고 향선생(鄕先生)에게 배우기도 했다. 약천은 18세에 부친을 따라 서울로 온 후 내외종으로 근친이었던 김익희(金益熙)에게 의탁했는데, 김익희는 김장생(金長生)의 손자로 효종(孝宗)과 송시열(宋時烈)의 총애를 받아 당시 정국을 주도하던 인물이다. 1651년 7월 식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28세 때(1656) 별시 문과 을과에 합격해 가주서로 선발된 뒤 특지(特旨)로 전적(典籍)으로 승진하고, 이후 청요직(淸要職)으로 순조롭게 진출했다. 다음 해 사서, 정언, 문학 등에 제수되어 경연에 참가했다가 당시 유림의 종장(宗長)이었던 송준길(宋浚吉)의 인정을 받고 문인(門人)이 되었다.
30세에 춘당대(春塘臺) 문신 정시(文臣庭試)에 급제하고 병조 정랑, 비변사 낭청이 되었으며, 임금이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상(喪)에 친림(親臨)하는 것을 간언해 막았다. 31세에 홍문록(弘文錄)에 뽑히고, 부수찬, 부교리가 되었으며, 7월 빈전(殯殿)에 서계(書啓)를 올렸다. 이해 12월 이조 정랑이 되었고, 이후 34세까지 헌납, 경상도 진휼어사, 교리, 응교, 집의 등을 역임했다. 36세에 동부승지, 예조 참의, 대사성, 대사간이 되었으며, 37세에 부친상을 당해 39세에 복을 마친 뒤 형조 참의, 공조 참의, 병조 참의에 제수되며, 40세에 전라 감사, 우승지가 되었다.
41세에 대사성으로서 학제(學制) 개편 등을 시도했으나 곧 체직되었다. 이에 광진(廣津) 아차산(峨嵯山) 근처 약수암(藥水巖)에 거처하며 ‘약천(藥泉)’이라 자호했다. 42세에 잠시 고향인 결성(結城)으로 내려갔다가 청주 목사가 되어 기민 구제 등에 힘썼는데, 후에 그 치적을 기려 생사당(生祠堂)이 세워졌다. 43세부터 46세까지 4년 동안 함경도 관찰사가 되어 북방 정책에 관여했는데, 특히 이 시기는 저자의 국방 사상과 역사관이 정립되는 시기로 이즈음의 저술을 주목할 만하다. 여연(閭延), 자성(慈城), 우예(虞芮), 무창(茂昌) 등 폐사군(廢四郡)을 다시 설치하고 갑산(甲山)과 길주(吉州) 사이의 도로를 개통해 서북 지방의 실질적인 방어책을 세우고 국경을 확정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주체적인 구토 회복(舊土回復) 의식과 민족주의적 역사관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46세에 조정으로 돌아와 이조 참판으로 동지경연, 비변사 진휼청 당상을 겸하고 이어서 형조 참판, 승문원 제조가 되었다. 3차 예송(禮訟)의 발발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득세하자 결성으로 돌아온 뒤 고신(告身)을 빼앗기는 등 이후 몇 년간 시련을 겪었다. 50세(1678) 10월 형조 판서, 한성부 좌윤으로 다시 기용되었으나, 다음 해 2월 남인의 영수인 윤휴(尹?)와 허견(許堅)을 탄핵하다가 거제(巨濟)로 유배되고 말았다. 52세 때(1680)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도승지로 소명을 받고 이어서 부제학, 공조 참의, 동지의금부사, 양관 대제학 등을 역임했다. 같은 해 모친상을 당해 복을 마치고 54세가 되던 해에 동지중추부사, 대사간, 병조 판서가 되고, 56세에 우의정, 57세에는 좌의정에 올랐다. 그즈음 서인들 사이에서는 훈척(勳戚)의 부정과 비리를 두고 젊은 사류들의 반발이 극심했다. 약천은 임술옥사(壬戌獄事)의 고변자인 김환(金煥)의 처벌 등에서 박세채(朴世采), 이상진(李尙眞)과 노선을 같이해 젊은 사류의 입장을 지지했는데, 특히 사림 정치의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는 김환을 처벌하는 것만이 정국 수습의 방안이라고 주장해 김환을 옹호하는 송시열, 김익희 등의 노론과 대립했다. 또한 윤증(尹拯)의 유현(儒賢) 대우 및 복상(卜相)과 관련해서 김수항(金壽恒)과 대립하면서 46차례나 정사(呈辭)하는 등 갈등을 빚었으나 숙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59세(1687) 7월 영의정에 제수되었다. 1688년, 장희빈(張禧嬪)과 동평군(東平君) 이항(李杭)을 앞세운 남인들의 진출이 두드러지자, 약천은 이를 견제하기 위해 박세채를 두둔하며 동평군을 탄핵하다가 경흥(慶興)에 위리안치되었다. 이후 삼사(三司)의 구원으로 방환되었다가 다음 해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송시열이 사사(賜死)되고 남인이 득세하자, 약천은 또다시 추궁을 받아 강릉(江陵)에 중도부처되고 생질이자 문인(門人)인 박태보(朴泰輔)가 장사(杖死)하는 비극을 맞았다. 62세(1690)에 방환되어 몇 년간 문생(門生)들과 유람과 강학으로 소일하는데, 당시 약천의 문인으로는 최석정(崔錫鼎), 최규서(崔奎瑞), 이상명(李尙命), 최석항(崔錫恒), 정제두(鄭齊斗) 등 당대의 명사들이 포진해 있었다. 이들은 후일 소론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해 학계와 정치계에서 활약했다.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인현 왕후가 복위하면서 서인이 다시 득세하자 약천은 영의정으로 소명을 받았다. 그러나 약천은 장희빈의 오라비인 장희재(張希載)의 주벌을 반대한 일로 노론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고 사직과 대명(待命), 영의정 제수가 반복되다가 결국 68세(1696) 이후 고향으로 내려가 다시는 관직을 맡지 않았다. 그러나 그 와중에도 부역(賦役)의 균등을 꾀하고, 과거의 개혁책을 구상하고, 서북 지역의 방어를 위해 성경(盛京)의 지도를 올리는 등 백성을 위한 정책의 제시와 수행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70세(1698)에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 치사를 청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장희재의 일로 다시 탄핵을 받아 74세(1702)에 아산(牙山)에 유배되었다가 방환되고, 79세(1707)에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숙종 37년(1711) 약천이 83세의 나이로 졸하자 숙종은 애통의 교서를 내리고 3년간 녹봉을 그대로 주도록 명했다. 소론 정권이 득세한 경종 2년(1722)에 약천은 문충(文忠)의 시호를 받고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다음 해인 1723년에 손자 남처관(南處寬)이 문집을 간행했다.  

대표작
모두보기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