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송대근

최근작
2016년 9월 <보안 분석가의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 전략>

송대근

안랩 CERT 팀에서 보안 분석가로 다수의 침해사고 분석을 수행했다. 민간 기업의 대규모 정보 유출과 3.20 사이버 테러 당시 관련 침해사고 분석 업무를 수행했고, 공공 기간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테러 대응을 지원했다. SOC(Security Operation Center) 매니저로 활동하며 진화된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차세대 보안 관제 서비스(NG-MSS)' 개발에 참여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보안 분석가의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 전략> - 2016년 9월  더보기

미국의 TV 시리즈 중 CSI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조각난 정보를 조립해 사건을 해결하는 경찰 과학수사대를 소재로 한 드라마다. 드라마를 볼 때마다 침해사고를 분석하는 모습과 참 많이 닮았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현장에서 사건과 관련된 단서를 찾고, 그 단서를 통해 사건을 풀어나가는 모습에 묘한 매력을 느꼈다. 침해사고 분석 업무도 드라마 속의 과학수사대와 유사하다. 방대한 로그에서 공격자가 남긴 흔적을 찾기 위해 밤새워 로그를 검색하는 모습은 사건 현장에서 범인이 남긴 지문을 찾기 위해 일일이 물건의 지문을 뒤지는 작업과 많이 닮았다. 단편적인 단서를 조합해 결국 사건의 원인을 찾아내고, 전모를 밝혀낼 때는 희열에 가까운 기쁨을 느끼기도 한다. 지금도 침해사고 대응을 위해 밤낮 없이 많은 분석가가 사고 분석과 사고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들의 노력으로 대한민국의 IT 보안은 계속 발전할 것이다. '해킹, 침해사고 분석' 이후 …… 처음 보안 분석 업무를 수행하며 겪은 경험을 모아 책으로 발간했다. 그 후 두 번째 사이버 침해 대응 책을 쓰기까지 7년의 시간이 지났다. 두 번째 쓰는 책이라 좀 더 좋은 내용을 담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고, 쓴 내용도 다시 돌아보며 오류나 잘못 전달된 부분이 없는지 주의를 기울였다. 10년의 기간 동안 꾸준히 IT 보안 영역에서 활동하면서 새롭게 배우고, 침해사고 분석을 할 때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정리하려 했다. 침해사고 분석가로 민간 기업과 공공 기관에서 발생한 IT 보안사고 대응을 지원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IT 보안사고 사례를 경험했다. 기업이나 조직의 IT 환경에 따라 보안 분석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과, 사고 분석과 관련된 분석 방법을 전달하고자 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