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최종성

최근작
2022년 9월 <조선 왕실의 민속종교>

최종성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역사민속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종교문화 횡단기』(이학사, 2018), 『역주 요승처경추안』(지식과교양, 2013), 『동학의 테오프락시』(민속원, 2009), 『기우제등록과 기후의례』(서울대출판부, 2007), 『조선조 무속 국행의례 연구』(일지사, 2002)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시천교조유적도지: 그림으로 읽는 또 다른 동학사』(모시는사람들, 2020), 『산과 인간이 만나는 곳, 산』(이학사, 2020), 『두 조선의 여성: 신체·언어·심성』(혜안, 2016), Korean Popular Beliefs (Jimoondang, 2015), 『고려시대의 종교문화』(서울대출판부, 2002)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국역 차충걸추안』(민속원, 2010), 『국역 역적여환등추안』(민속원, 2010), 『세계종교사상사2』(이학사, 2005) 등이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조선 왕실의 민속종교> - 2022년 9월  더보기

이 책은 번듯한 조직과 제도를 갖춘 공식종교에 비해, 보잘것없는 주변부의 잔존물로 취급받아온 민속종교를 다룬다. 특별히 ‘민속종교’라는 체를 통해 전근대 조선 왕실의 문화를 걸러보는 체질[篩別]을 시도한다. 민간신앙은 엘리트의 고매한 형이상학 체계와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지만, 늘 일상의 자리에서 흔들림 없이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면서 종교문화의 변동과 생성을 낳기도 하였다. 그간 민속종교를 통해 문화의 역동성과 총체성을 충분히 읽어낼 만도 했지만, 그것을 탐색 도구로 애써 삼으려 하지 않는 지적 옹졸함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밋밋한 것은 민속종교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대하는 날렵하지 못한 연구자의 시선이었다. 이 책은 왕실을 하나의 민속 그룹으로 설정하고, 왕실 민속의 주요 경험군이라 할 만한 산천신앙, 무속신앙, 점복신앙 등에 주목하였다. 물론 왕실 친화적인 민속신앙뿐만 아니라 왕실의 권위를 거스르는 반왕조의 민속 담론 및 실천에도 주목하면서 균형 잡힌 왕실문화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왕실신앙은 일상을 초월하는 비범한 향상(向上)보다는 그저 손(損) 없고 탈(頉) 없는 일상질서의 항상(恒常)에 주력하고자 했다. 이 책의 저자는 왕실의 산천, 무속, 점복에 주목하면서 그간 가려졌던 왕실문화를 재발견하고, 왕실의 종교문화를 재평가하면서 민속종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