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홍호표

최근작
2019년 10월 <제가 스리랑카에서 살아봤는데요>

홍호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하며 글을 쓰고 살았다. 은퇴 후 한국어교사 3급 자격증을 취득하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 114기 일반봉사단원으로 선발돼 2017년 5월 스리랑카에 파견됐다. 옛날 우리나라 시골 읍 같은 분위기가 나는 도시 와라카폴라에 있는 기능대학에서 2년간 한국어를 가르쳤다. 스리랑카에 가기 전까지 동아일보에서 기자와 에디터로 36년 8개월간 일하고 정년퇴직했다. 성균관대 공연예술학박사이며 지은 책으로 《정보사회의 미디어산업》 《조용필의 노래, 맹자의 마음》 《대중예술과 문화전쟁》(공저)이 있다. 큰아들의 표현을 빌리면 “아버지 같은 어머니”인 아내와 함께 사는 “애 같은 아버지”이며, 옛 직장 동료에 따르면 “진정한 자유인”이다. 아내와 두 아들, 며느리와 손자가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조용필의 노래, 맹자의 마음> - 2008년 5월  더보기

인간 본성을 노래한 가수 조용필을 맹자의 시선으로 탐구하다 조용필 씨와 나는 30년 가까이 서로 마음을 읽어왔다. 조 씨가 가요활동 규제에서 풀려난 뒤 첫 공식 활동으로 1980년 1월 방송된 동아방송(DBS) 연속극 주제가 〈창밖의 여자〉를 부를 무렵 처음 만났다. 그 뒤로 지금까지 나는 그의 음악과 생활을 지켜보았고, 조 씨 역시 나의 모습을 지켜보았다. 올해는 그의 음악계 데뷔 40주년이다. 나는 한 대의 국산승용차를 5년 넘게 타고 다니는 이 소박한 슈퍼스타가 가왕(歌王)으로 자리매김한 배경의 본질을 분석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른바 대중음악 평론이 대부분 의식화와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이뤄져 특정 운동권 가수와 음악만이 떠받들어지고, 인간의 본성에 호소하며 대중과 한마음이 되는 음악과 그러한 가수에 대해서는 ‘상업가수’라고 잘라 말할 뿐 본질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예술과 문화계가 특정 이데올로기에 장악되면 대립과 갈등을 부를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심성 자체를 왜곡할 위험이 크다. 따라서 가요와 가수 연구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사랑은 사랑으로 그냥 이해하고, 노래는 노래 자체로 알고 즐겨야 바른 것이지 체제 전복을 위한 도구나 ‘굿’으로 보는 것은 인성을 왜곡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나의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2008년 2월) 논문을 재구성한 것이다. 논문 제목은 〈趙容弼 노래의 孟子的 特性에 관한 硏究〉(A Study on Cho Yong Pil's Songs in Light of Mencius Tradition in Korea)다. 한국적 정서와 학문의 틀로 ‘조용필 현상’을 분석한 것이다. 학위논문은 맹자사상을 천인(天人)관계, 시련과 고난, 수양, 영광과 환희의 순으로 살펴보고 그 순서에 따라 조용필 노래를 성정(性情)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논문을 풀어서 비교적 읽기 쉽게 재구성한 이유는 맹자를 알고 조용필을 이해하는 방식도 있지만 먼저 조용필과 그의 노래를 통해 맹자를 접한 뒤, 맹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방식도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글의 앞부분은 논문의 뒷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맹자 학문의 체계에 따라 보다 ‘학술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분들은 학위논문을 읽어보기 바란다. 2년 5개월여에 걸쳐 쓴 이 글은 학(學)을 통해 그 정점인 예(藝)와 악(樂), 그리고 인간본성을 알아가는 진심(盡心)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 인의예지(仁義禮智)로 우리 민족의 정서에 뿌리를 박고 있는 유학의 도(道)가 과연 지금도 통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기도 하다. 도 또는 진리는 너에게 통하면 내게도 통해야 한다. 어느 한쪽에만 통하면 도라고 할 수 없다. 공부의 즐거움을 강조하고 예술에서 노닐었다는 공자의 말씀과 학문이란 인간본성을 되찾는 과정이며 음악은 인의(仁義)를 즐기는 것이라는 맹자의 말씀은 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진리임이 입증됐다고 말할 수 있다. 즐거움은 결코 ‘바깥의 딴 세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있었다. 이 글의 철학적 의미는 인식론이 주도해서도, 무용지물이 되어서도 안 된다는 인식론의 ‘제자리 매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한마음[天心]이 ‘뿌리’가 되어야 인식론이 비로소 제구실을 하기 때문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